Sunday 13 April 2014

여덟번의 숨고르기전

아트스페이스 휴 초대기획 입주작가 릴레이 개인전
여덟번의 숨고르기전
2014.03.26-04.04
아트스페이스 휴






















창작프로세스에서 시네마토그래피cinematography가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하다. 미장센mise-en-scene과 극의 전개방식, 중요인물들의 심리적 상호관련성은 창작의 과정에 독특한 기여를 하고 있다소위 이것이 활동사진이라는 것이라고 각인된 것은 대 여섯 살 무렵 부모님과 함께 본 사운드 오브 뮤직이었는데 줄리 앤드류스의 맑고 청아한 목소리와 리처드 로저스와 오스카 헤머스타인의 너무나 유명해진 예의 그 뮤지컬 곡들은 시네마와 음악의 적극적 결합이라는 양상으로 다가왔다. 노래와 음악과 드라마가 있는 그것은 보석상자를 열면 오르골 소리와 함께 자석 달린 몸체로 무한히 원형운동을 하던 발레리나를 보는 것 같은 맛있고 소소한 충격이기도 했었다.

 이와 같은 시네마를 바라보는 관객적 카타르시스는 강박과 불안상태를 오가는 어떤 가상 인물의 시선으로 바라보기로 전이되었다. 타인이 되어보기_현재의 프로세스에서는 엄밀히 말하면 또 다른 자아를 끄집어 내어 타인화하기가 좀 더 정확할는지도 모른다_는 개인적 경험에서 기인되었을 뿐만 아니라 드라마적 영상이 남긴 시각적이며 촉각적인 자취일수도 있다. 이러한 가상인물은 애니메이션에서는 Cheepy라는 alter ego로 등장하기도 했었는데 비겁한 행동양식처럼 보이기도 하는 이러한 매개자 내세우기는 객관화된 주관성을 이끌어 낼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였다. 거기에 덧붙여 반투명성에 대한 집요함_린시드 오일먹인 종이, 트레싱이나 트레팔지 등은 드로잉의 중요한 소재이다_은 그 비겁함에 은폐와 훔쳐보기라는 양념으로 버무려졌다.

직선과 대각선의 교차지점을 반복하는 선 긋기는 위에서 언급한 강박상태의 인물이 그 불안감을 극복하고자 취한 또 다른 극단적 도피로 봄이 옳을 것 같다. 이 시각적 반복행위는 흑백이라는 대립적 구도로, 디지털 메트로놈 사운드의 청각적 강요로 이동하고 있다. 유아적 상상력에서 비롯된 서양식 주거형태의 전형인 레디 메이드 인형의 집은 흑과 백이라는 논리적 대립이기보다는 단색이 가지는 일관된 중독적 배열과 훔쳐보기라는 충동을 이야기한다. 또 다른 의미로 각기 다른 박자로 울려 퍼지는 4대의 디지털 메트로놈과 병행으로 설치되는 오브제의 흑과 백의 점증적 색상변환은 극으로 치닫는 억압의 과정 자체를 의도하였다.

강박에 빠진 인물의 바라보기를 통해 심리적 공황상태_불안, 강박, 공포 등_에 빠져드는 시점을 평면과 영상 또는 상황적 설치로 해석해보고자 함은 여전히 수많은 가능성이 남아있으며 그 것은 다양한 시점전환과 내면의 섬세한 파동들을 시각화하려는 움직임을 획득하기 위한 여정으로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 본다.

2014년 봄
김 영미

 



PAJU ACCESS전

PAJU ACCESS
아트스페이스 휴 기획 그룹전
2103. 11.20- 12.20
아트스페이스 휴


파주행_ 상념의 행로

작업실로 향하기 위해 매번 짐을 꾸린다. 서너 시간의 그 길지 않은 여정 동안 나는 매번 나의 행로를 타자(他者)가 되어 들여다본다. 기차 안의 빠르게 스쳐 지나가는 풍경의 잔상은 어느새 나를 끝없는 상념의 세계로 이끌고 나는 과거의 나와 미래의 나와 마주치고 이야기한다.

파주 행은 아버지의 청춘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빛이 바래고 여기저기 낡아지기 시작한 가죽서류가방을 떠올리게 했다. 이젠 등이 휘기 시작하고 뛸 걸음에 숨가빠하는 한 노인의 지나간 세월, 성공과 실패가 고스란히 묻어있는 그 가방의 냄새가 떠오른다. 아버지에게 보내는 편지처럼 그 가죽주머니에 나는 이야기를 담고 예의 상념들을 늘어놓았다.

파주로 향하는 길이 아버지의 가죽가방을 떠올리게 한다면 파주라는 도시 자체는 내게 새들의 도시로 각인된다. 남부에서는 드물게 보이는 철새의 이동하는 모습이 여기서는 유난히 가까이 자주 보인다. 코끝이 시리기 시작하는 가을 녘이 되면 이름도 모르는 철새들이 서둘러 이주를 시작한다. 어느 날인가 그네들의 낮은 비행 덕에 남쪽으로 출발하는 한 무리를 자세히 관찰할 기회가 있었다. 이들도 인간의 그것과 다르지 않은 사회생활을 한다는 것을 새삼 느끼는 순간이었다. 선두에선 우두머리, 후방의 호위병 그리고 낙오하지 않으려 노력하는 중간무리들…. 신기하기도 하거니와 그 속에서 비쳐지는 인간사가 이상하게도 내겐 씁쓸한 여운을 남겼다. 1999. 그때 처음 미술학도가 되기로 결심하고 갓 편입하여 학교생활에 적응할 때 그 때도 나는 같은 감성으로 새들을 바라보았던 것일까? 간직하고 있던 99년의 드로잉들을 다시 꺼내 보았다.


거리와 시간에 관계없이 여행은 내게 묘한 설렘을 준다. 끝없이 펼쳐지는 파노라마 속에서 백일몽을 꿈꾸며 황홀경에 젖어 든다. 내가 아닌 내가 될 수 있는 순간, 또 다른 페르소나와 조우할 수 있는 가슴 벅찬 순간들이 여행이, 파주로 가는 길이 내게 주는 선물인 셈이다. 차원을 넘나드는 이 생각의 행로는 그야말로 해봄직한 행위예술인 셈이다.

The way home+ Nomadia_one channel video_dvd player_1.26min_2013
The way home+ Nomadia_one channel video_dvd player_1.26min_2013

Wednesday 9 October 2013

Drawing Solo Show

Drawing Solo Exhibition

Gallery Palais de Seoul
2013.10.02-10.09

서울특별시 종로구 통의동 6번지







강박으로부터 심장의 박동이 미친 듯이 널뛰기를 할 때 그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반복적 행위에 몰입하는 경우가 있다패턴이라는 다소 리드미컬한 시각적 메커니즘은 때론 그 행위를 대변한다특히 가장 단순한 형태임과 동시에 다양한 변주가 가능한 다이아몬드 패턴은 강박이라는 그 감정적 억압으로부터의 일탈을 가능하게 한다인쇄물에서 오려낸 서로 무의미한 이미지들은 그 패턴 위에 작위적 혹은 무작위적으로 던져지며 때론 그 뒤로 사라지기도 한다.
무의식이 조우하게끔 만든 이러한 이미지들은 강박에 의해 자유의지를 상실한 그 순간들이며 부유하는 자아들의 레디 메이드 인생의 한 단면이다마치 바벨탑처럼 사회적 명성과 부와 영생을 추구하는 욕망들은 하늘에 닿기만을 염원하며 쉬지 않고 올라간다어느 순간에 무너질지도 모르는 불안감을 절친한 친구로 삼아서그리고 그 불안감은 강박과 억압으로 되돌아가는 악순환을 반복한다.
자아의 정체를 부르짖으며 스스로를 검토하고 해부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뜻하지 않은 상흔(傷痕)을 온전히 나의 것으로 받아들이고자 나는 나에게 은폐라는 베일을 선물한다그 베일은 하늘거리며 신부의 수줍은 얼굴을 사뿐히 감싸 안는다미래에 대한 희망과 불안으로 발그레해진 그녀의 얼굴을 보여줄 듯보여주지 않는 그 관능은 바라보는 이를 애닯게 한다그렇게 나는 나의 베일 속으로 숨어든다.












Monday 9 September 2013

2013 휴+네트워크 창작스튜디오 오픈 스튜디오

2013 휴+네트워크 창작스튜디오 오픈 스튜디오
2013.09.06-09.08
아트스페이스 휴: 경기도 파주시 문발동 516-2 성지문화사 3층
성동창작스튜디오: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 663-5 2층


 
 
 

 

Thursday 25 July 2013

드로잉 쓰고 또 쓰다

드로잉 쓰고 또 쓰다
2013.07.05-07.24: 아트스페이스 휴
2010.07.07-07.19: 보림 갤러리


 
 
 



 
 
 

Monday 8 April 2013

프레드로잉비엔날레_공모

드로잉, 생각의 시작
Drawing, Birth of Thinking


























2013.04.05-04.28
Gallery Lee&Park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헤이리 1652-522



























Saturday 13 October 2012

For the Summer 2012

 FOR THE SUMMER 2012
Solo Exhibition_Blue Fairy Tales
 
Gallery Palais de Seoul